导图社区 包孕句思维导图
韩语中的包孕句总结,包含了一个句子中的主语和谓语有两个或者两个以上、类型等内容,干货多,知识全,可收藏。
七上历史:史前时期,中国境内早期人类与文明起源,简单介绍了北京人,山顶洞人,农耕原始生活,炎黄联盟,一起来看。
电影的大致发展史,清楚标明每个时间阶段的发展进度和代表事件,方面时间把控,非常实用,值得收藏。
本思维导图适用于简介西方美术作家及作品,可做迅速了解使用,主要包括:威尼斯画派、荷兰画派、巴洛克艺术、立体派、野兽派、法国。
社区模板帮助中心,点此进入>>
英语词性
电影院包场服务流程
法理
刑法总则
【华政插班生】文学常识-先秦
【华政插班生】文学常识-秦汉
文学常识:魏晋南北朝
【华政插班生】文学常识-隋唐五代
民法分论
暮尚正常运转导图
包孕句
1. 一个句子中的主语和谓语有两个或者两个以上
2. 类型
1. 名词型
1. 以名词的形式代替句子中的主语,宾语,副词
1. n.
1. -(으)ㅁ
1. 表示事情的完成
2. 出现具体的事情
3. 可以和过去时态连用
4. 后面可以加实际性和决定性的东西
5. 可以使用的谓语
1. 感官用语
보다, 듣다, 느끼다, 기쁘다, 슬프다
2. 意识用语
알다, 깨닫다, 잊다, 인식하다, 의식하다
3. 评价用语
분명하다, 확실하다, 틀림없다
4. 其他
밝혀지다, 드러나다, 주장하다, 고백하다, 지적하다, 알리다, 암시하다
2. -기
1. 没完成的事
2. 一般的事和抽象的事
3. 不能使用过去时态
4. 实际性和决定性的
1. 表达用语
좋다, 좋아하다, 싫다, 싫어하다, 피하다, 꺼리다
2. 难易表达用语
쉽다, 용이하다, 수월하다, 어렵다, 까다롭다, 힘들다, 불편하다, 괴롭다
3. 愿望表达用语
바라다, 원하다, 희망하다, 기대하다, 기다리다, 기원하다
결심하다, 약속하다, 정하다, 계획하다, 합의하다
5. 特殊
'나름이다, 마련이다, 십상이다' 등의 특정 어휘를 다룰 때 '-기 나름이다, -기 마련이다
3. 구별
1. 홍길동 씨가 (범인임이, 범인이었음이) 밝혀졌다. *홍길동 씨가 (범인이기가, 범인이었기가) 밝혀졌다.
例文中是具体的事实所以只能用ʻ-(으)ㅁʼ
2. 나 보기가 역겨워 가실 때에는 말없이 고이 보내드리오리다. *나 봄이 역겨워 가실 때에는 말없이 고이 보내드리오리다.
例文中的事情没有真正的发生而是假想所以用ʻ-기ʼ
3. ʻ-기ʼ本身具有实际性,具体性的意思所以不能加过去的时态
2. 冠形词型
1. 类型
1. 종결형 문장+'-는 것'
大部分可以和'-(으)ㅁ'명사절相互替换
2. ʻ-(으)ㄴ, -는, -(으)ㄹ, -던 것ʼ 등의 관형사형 문장+'것'
3. 짧은 관형절+것
1. 包孕句终结词尾被活用成冠型词词尾
2. 把包孕句谓语的原来时态活用成冠型词词尾
나는 그가 책임을 회피하는 것을 본 일이 없다
4. 긴 관형절+것
1. 以终结词尾的形式出现
2. 在完整的句子中与冠型词词尾'-는'相结合
철수가 부상을 당했다는 것은 낭설이다.
2. '것' 명사절은 의존 명사 ʻ것ʼ을 관형절이 수식하는 구성이므로 관형절 내포문이라고 보기도 한다. 의존 명사 '것'이 관형사형의 꾸밈을 받는다고 해서 모두 명사절은 아니다.
3. 疑问型
1. '-느냐/(으)냐', '-는지/(으)ㄴ지'
1. 以疑问型结束的句子再加上助词组成的名词词组
1. 主语
이제부터 무엇을 하느냐가 문제이다
2. 谓语
그가 언제 떠났는지를 물어 보시오
2. '느냐, -(으)냐, -는가, -(으)ㄴ가, -는지, -(으)ㄴ지, -(으)ㄹ지' 와 같은 말은 명사형 어미가 아니지만 명사형 어미처럼 쓰여 그것이 이끄는 절을 명사절로 만드는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 교육하여야 한다.
3. 명사절과 어울리는 서술어를 연결하여 교수해야 한다.
2. 引用型
1. 特征
1. 从别人的话或文章中直接摘取
2. 把说话人的想法或感受,引用别人的话,象声词和拟态词结合引文的副词助词表达的句子
3. 直接引用或间接引用
1. 直接引用
1. 主语句子直接引用
2. '-라고, -하고'가 붙어 큰따옴표 안에 직접인용한다. 引号内直接引用
1. 훈희가 "이것은 책입니다."라고 말했다.(평서문 인용)
2. 훈희가 "어서 가시오."라고 말했다.(명령문 인용)
3. 훈희가 "어서 갑시다."라고 말했다.(청유문 인용)
4. 북소리가 "둥둥"하고 울렸다.(의성어 인용)
5. 어머니가 "훈희야!"하고 부르셨다.(부르는 말 인용)
3. 有收音ʻ-이라고ʼ,无收音ʻ-라고ʼ
2. 间接引用
1. 说者的话变成间接引用
2. 没有引用符号,根据文章的终结语尾使用不同的助词
3. 根据说者与听着现在的关系,人称代词也有所不同
4. 간접인용에서는 상대높임법이 나타나지 않는다.